노랑부리백로로부터
노랑부리백로로부터
HD현대오일뱅크는 사업장 인근 생물다양성 보호 지역을 식별하고, 생물종 분호 변화를 추적관리할 수 있도록 생물다양성 평가를 지속하고 있다. 이에 본 칼럼에서는 우리 주변의 멸종위기 야생생물을 살펴보고 생존의 지혜 등을 배우고자 한다. 이번 달에는 지속적 먹이활동으로 생존을 이어가는 노랑부리백로가 주인공이다.
지속적 먹이활동
노랑부리백로의 몸길이는 65cm 정도이며, 몸무게는
390~540g이다. 고운 선과 하얀 빛깔이 우아한
자태를 완성한다. 서해안을 중심으로 남해안 일대까지
분포하는데, 가끔씩 동해안에 도래하기도 한다. 봄부터
가을까지 갯벌이나 근처 농경지 등에서 관찰되는데,
수심이 얕은 곳에 서식하는 물고기, 게, 새우,
갯지렁이를 먹이로 삼는다. 4월쯤 번식기가 시작되며,
노란 부리와 검은 다리가 시선을 사로잡는다. 머리 뒤로
긴 장식깃다발이 발달하다가 번식기가 끝나면 부리가
어둡게 변하고 장식깃이 사라진다. 다리 또한 노란색을
띤 녹색으로 변한다. 노랑부리백로는 끊임없이
먹이활동을 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생존을 위해 잠시도
쉬지 않으며, 뛰면서 먹이를 몰아가거나, 물 속을
반복적으로 찌르며 사냥을 이어간다. 우아한 자태와
달리 생존을 위한 먹이활동에 전력을 다하는 것이다.
노랑부리백로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노랑부리백로에게서 배우는 삶의 지혜 3
1. Unity
노랑부리백로는 서해안 무인도서에서 주로 번식하며, 평소 단독 또는 작은
무리를 이루어 먹이활동을 한다. 그러나 가을철 이동시기가 되면 많은
수가 무리를 형성해 위험요소를 제거하며 생존을 이어간다. 단합의 힘을
활용하는 것이다.
2. Schedule
노랑부리백로는 계획적이다. 번식기가 도래하면 마른 가지를 모아 둥지를
준비하고, 알을 낳으면 20일 이상 포란 기간을 갖는다. 새끼가 부화하면
40일 정도 새끼를 키우는데 집중한다. 구체적 스케줄을 마련하고,
적극적으로 실행에 옮긴다.
3. Continuity
노랑부리백로는 안주하지 않는다. 질주하며 먹이를 쫓고, 물 속을 찌르며
먹이를 탐색한다. 항상 움직이며, 그러한 근면을 바탕으로 환경적 제약을
극복하고 생존을 이어간다.
추천 콘텐츠
-
[2025년 6월] People Like a Tree2025. 06. 20
-
[2025년 6월] Upcycling Wine Rack by Upcycling2025. 06. 20
-
[2025년 6월] Better Me,Better Us 퍼스널 컨설팅 여성 헤어2025. 06. 20
-
[2025년 6월] Event Mentoring for Precious Dream2025. 06. 20
-
[2025년 6월] Teamwork Innovative Plan for Growth2025. 06. 20
-
[25년 5월] People Come Together2025. 05. 20
-
[2025년 5월] Upcycling Crafting with Purpose2025. 05. 20
-
[2025년 5월] Teamwork Connecting Company & Customers2025. 05. 20
-
[2025년 5월] Event Change Agent for CommBrigde2025. 05. 20
-
[2025년 5월] Better Me, Better U 맨즈 뷰티의 모든 것2025. 05. 20
-
[2025년 4월] Better Me, Better U 메이크업 가이드2025. 04. 21
-
[2025년 4월] Event Family Sprouts2025. 04. 21
-
[2025년 4월] Teamwork Innovators in Shanghai2025. 04. 21
-
[2025년 4월] Upcycling Flowerpot by Upcycling2025. 04. 17
-
[2025년 4월] People Together in Green2025. 04. 17
-
[2025년 3월] Teamwork Passion for Sustainable Growth2025. 03.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