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ue Talk!

게시글 제목, 내용, 해시태그를 검색해 보세요!

[2025년 9월] ESG Story 1

[Insight] ESG 보고서를 통해 피어나는 기업의 지속가능경영

2025. 09. 19

ESG 보고서를 통해 피어나는 기업의 지속가능경영

최근 ESG(환경·사회·거버넌스) 보고서는 기업 홍보 자료를 넘어, 투자자·정부·시민사회 등 이해관계자가 기업의 지속가능 경영을 평가하는 핵심 창구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국내 주요 기업들은 국제 공시 기준에 맞추어 보고서 체계를 정비하고, 정부 역시 ESG 정보 공시 확대 및 의무화를 기조로 한 제도적 기반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글 : ESG경영팀 박소미 매니저

1. ESG 보고서, 왜 중요한가?
ESG 보고서는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평가하는 기본 자료이자 전략적 의사결정을 위한 핵심 도구입니다. 투자자들은 보고서를 통해 기업의 장기 성장 가능성과 리스크 관리 역량을 판단하는데, 탄소배출 감축 목표나 재생에너지 사용 현황 등의 정량적이고 구체적 정보는 투자 경쟁력을 높이는 요소로 작용합니다. 한편, 기업은 ESG 공시 의무화에 대비해 법적 요구사항을 충족하고 규제 리스크를 사전에 관리하는 수단으로 ESG 보고서를 활용합니다. 소비자, 지역사회, 언론 등 이해관계자는 ESG 보고서를 통해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지배구조의 투명성을 확인하며, 이를 통해 기업에 대한 신뢰를 제고합니다.

2. 글로벌 공시 기준에 따라 작성되는 ESG 보고서
ESG 보고서는 글로벌 공시 기준과의 정합성을 강조합니다. 국내 다수 기업이 ESG 보고서 기준으로 채택하고 있는 GRI(Global Reporting Initiative) 표준이 있고, 산업군별로 핵심 ESG 이슈를 보고하도록 하는 SASB(Sustainability Accounting Standards Board), 그리고 기후변화가 기업 재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과 목표를 정량적으로 공개하도록 권고하는 TCFD(Task Force on Climate-related Financial Disclosures) 등이 대표적입니다. 최근에는 국제회계기준을 제정한 기관에서 발표한 지속가능성 공시 기준(IFRS S1/S2)이 기존의 여러 공시 기준들과의 정합성을 확보하며 세계 주요국에서 공시 기준으로 채택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우리나라도 ESG 정보 공시 의무화가 이루어질 경우 IFRS 기준에 따라 보고해야 할 가능성이 높아, 이에 대한 사전 준비가 필요합니다.

3. ESG 공시 선도 기업
• SK하이닉스

SK하이닉스는 2022년 부터 ‘PRISM(Pursue, Restore, Innovate, Synchronize, Motivate)’이라는 고유의 ESG 전략 체계를 구축하였습니다. P, R, I, S, M 영역은 각각의 의미와 함께 중장기 목표를 담고 있으며, ESG 보고서를 통해 기준년도의 성과와 단기 목표를 정량적인 수치로 공개한 것이 특징입니다.

• 카카오
카카오는 시각장애인의 정보 접근권 보장을 위해 시각장애인용 ESG 보고서를 별도로 발간합니다. 또한 대다수의 ESG 보고서가 환경, 사회, 거버넌스 파트로 구성된 것에 비해 기업의 ESG 5대 중점분야와 중대성 평가 결과를 연계하여 지속가능 성과를 공개하였습니다.

• HD현대오일뱅크
HD현대오일뱅크도 지속가능경영에 대한 회사의 방향성과 성과를 공개하고 다양한 이해관계자와 적극적으로 소통하고자 2022년 (회계연도 2021년 기준) 부터 매년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하고 있습니다. 지난 6월, 글로벌 공시 기준 및 국내외 평가기관 지표를 반영하여 4번째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하였는데, 자원 순환, 탄소 저감, 친환경 R&D 강화, 인권 및 사회적 가치 실현 등의 성과를 균형 있게 담아낸 것이 특징입니다. 또한 보고서 내에 ESG 주요 정책을 공개함으로써, 회사의 ESG 경영 철학과 실천 의지를 보여주었습니다.

4. ‘경영 언어’로서의 ESG 보고서
햇빛·물·토양이 꽃을 피우는 필수 요소이듯, 환경·사회·거버넌스 활동은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키우는 핵심 요소입니다. 이러한 노력이 투명하게 담긴 ESG 보고서는, 단순한 보고서를 넘어 기업의 신뢰와 미래 경쟁력을 꽃피우는 경영 언어가 됩니다. 진정한 개화를 위해서는 국제 기준과 정부 정책의 흐름을 면밀히 살피고, 보고서의 질적 수준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그렇게 피어난 ESG 보고서는 기업의 철학과 가치를 담은 꽃으로, 국·내외 투자자와 지역사회의 신뢰를 얻는 기반이 될 것입니다.



URL이 복사되었습니다.